2011년 타계한 스티브 잡스. 그의 삶을 다룬 영화만도 여러 편이다. 그중 2013년에 나온 영화 <잡스Jobs>(조슈아 마이클 스턴 감독)는 스티브 잡스(애쉬튼
커쳐 분)가 마주했던 캐즘 현상을 다루는 동시에 기술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기술을 다루는 인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걸작이다.
스티브 잡스가 처음으로 만든 컴퓨터 애플1은 기판만 덜렁 있는 상태였다. 인수하려던 컴퓨터 가게 사장도 난색을 보일 지경이었다. 이에 잡스는 “그러면 케이스랑
모니터, 키보드를 따로 팔아라. 쓸 사람들이 조립해서 쓰라고 하라”며 오히려 당당하게 말했다.
그러나 이후 그가 만든 작품들은 갈수록 사용자 친화적이 됐다. 애플2가 그랬고, 매킨토시가 그랬고, 아이팟과 아이폰이 그랬다. 누구나 사용하기 쉬운 직관적인 설계
덕분에 그는 타계한 지 10년 넘은 현재까지도 컴퓨터 개발 업계의 전설로 남아 있다.
그런 개발 기조와는 별개로, 잡스는 냉혹하고 비인간적인 면모로도 유명했다. 동거녀 크리샌 브레넌(아나 오라일리 분)이 아이를 임신하자, 잡스는 그 아이가 자기 아이일
리 없다며 브레넌을 내쫓아버린다. 함께 차고에서 애플을 일으켜 세운 창업 공신들도 쓸모가 없어지자 회사에서 해고해버린다. 또 다른 창업 공신인 스티브 워즈니악(조시
개드 분)은 잡스에게 “넌 사람이 아니라 제품과 자신에게만 집착해”라며 스스로 사직서를 던진다. 실제로도 스티브 워즈니악은 이 영화를 보고, 잡스가 실제보다
미화됐다는 평을 남길 정도였다. 잡스뿐 아니라 조지 패튼, 토머스 에디슨 등도 큰 성과를 낸 반면 비인간적인 면모로 지탄받은 것을 보면, 훌륭한 지도자가 인간적이긴
어려운 것인가 싶은 의문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