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Focus Story> Infographic
IT’s Hot,
기술사업화!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R&D 투자 대국, 대한민국. 그런데 실제 사업화되는 비율은 낮다고?
기술사업화의 개념과 글로벌 특허 현황, 우리의 현실을 살펴보고 대한민국 기술사업화 방향을 고민해본다.

연구개발된 기술이 제품이나 서비스로 만들어져 시장에 출시되어 판매되는 과정

❶ 대한민국 총 연구개발비(2023년 기준)
자료 : 리포트링커 리서치ReportLinker Research,
<Global R&D Expenditure by Country>
❷ 국내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2023년 기준)
*기업체 R&D는 목적 자체가 사업화이므로 별도 사업화율 측정에서 제외. 기술사업화율은 대학·공공연구기관 등 세금을 투입한 R&D에 한해 평가.
자료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4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 보고서>
조사 대상 : 공공연구기관 275개(공공연구소 142개, 대학 133개)
❸ 정부 R&D 사업화 성과
자료 :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2024년 국내외 R&D 기술사업화 통계브리프>

특허는 기술경쟁력을 결정짓는, 기술사업화의 핵심 기준

  • ❶ 삼극특허Trilateral Patent : 미국, 유럽, 일본, 한국 등 세계 주요 특허청 중 3곳 이상에서 등록한, 기술경쟁력이 높은 핵심 특허.
자료 :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2024년 국내외 R&D 기술사업화 통계브리프>

특허 기술 자체를 다른 기업 및 국가에 파는 것으로, 내수시장에서 해당 기술을 사업화하기 어려울 때 대안이 된다.

자료 :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2024년 국내·외 R&D 기술사업화 통계브리프>
 이번 호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