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디지털 참여, 생물다양성 보전으로 이어져
이 실험은 NFT 발행과 수집을 넘어 시민의 디지털 참여가 생물다양성 보전이라는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도록 설계됐다. 시민들은 ‘요원’으로 참여해 온라인 퀴즈와 인증 미션을
수행하고 NFT를 획득하며, 이에 따라 실제 자생식물 보전지가 조성된다. 개인의 행동이 생태계 복원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도 크다는 분석이다.
수도권 중심 환경 캠페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과 전국 단위의 오프라인 참여 방식도 병행했다. 시민들은 퀴즈와 미션을 통해 NFT를 획득하는 ‘포켓씨GO’ 이벤트에 참여해
시드볼트 NFT 홈페이지, 오픈 채팅방, 인스타그램 등에서 이스터에그형 콘텐츠를 탐색하며 미션을 수행했다. 동시에 전국 각지의 친환경 장소를 직접 방문해 현장 QR코드를 인증하면
NFT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 폭넓은 시민 참여를 유도했다.
시드볼트 NFT 컬렉션은 환경재단의 기획과 생물다양성 보전 노하우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시민이 재미있게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환경 메시지를 체감할 수 있도록 게임화(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도입했으며, NFT 획득 과정에 생물다양성 교육 콘텐츠를 접목해 학습과 실천이 동시에 이뤄지도록 구성했다.
기술 파트너인 두나무는 업비트 NFT 플랫폼을 통해 NFT 자동 발급, 현장 QR코드 스캔 등 시스템을 지원했다. 발급된 NFT는 캠페인 참여 인증, 행사 입장권 등으로도
활용됐으며, 보유 NFT를 조합해 새로운 NFT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마련해 참여자들의 몰입도를 높였다.
보전지 조성은 단순 식재를 넘어 생태적 의미와 교육효과를 함께 담는 데 중점을 뒀다. 환경재단은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함께 생육환경, 기관 전문성, 시민 접근성 등을 고려해
보전지를 선정하고, 각 공간이 생물다양성 보전과 시민교육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기획했다.